무릎 슬개대퇴증후군(PFPS), 여성에게 더 흔한 이유는? 증상과 해결 방법 id="tt-body-page" class="layout-aside-right paging-number">
본문 바로가기
재활운동

무릎 슬개대퇴증후군(PFPS), 여성에게 더 흔한 이유는? 증상과 해결 방법

by correct-exercise 정지훈 2025. 1. 17.
반응형

안녕하세요. 올바른 운동 Correct-Exercise 정지훈입니다.

무릎 앞쪽이 찌릿하거나 둔한 통증이 느껴진 적이 있나요?
특히 오래 앉아 있다가 일어날 때, 계단을 오를 때, 운동 후 무릎 앞쪽에 통증이 발생하는 경우, **슬개대퇴증후군(PFPS, Patellofemoral Pain Syndrome)**을 의심해볼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슬개대퇴증후군이란 무엇인지, 왜 여성에게 더 흔한지, 남성과 여성의 차이점, 그리고 효과적인 교정 운동법까지 쉽게 설명해드리겠습니다.


1. 슬개대퇴증후군(PFPS)이란?


슬개대퇴증후군(Patellofemoral Pain Syndrome, PFPS)이란, 슬개골(무릎뼈)과 대퇴골(허벅지 뼈) 사이의 마찰로 인해 발생하는 통증을 의미합니다.
무릎뼈(슬개골)는 허벅지 근육(대퇴사두근)과 연결되어 있으며, 무릎을 구부리거나 펼 때 위아래로 움직이게 됩니다.

정상적인 상태라면 슬개골이 대퇴골의 홈(Trochlear Groove) 안에서 매끄럽게 움직이지만, 근육 불균형이나 정렬 문제로 인해 슬개골이 비정상적으로 움직이면, 관절면에 지속적인 압박이 가해지면서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슬개대퇴증후군의 대표적인 특징
• 무릎 앞쪽(슬개골 주변)에서 통증이 발생
• 오래 앉아 있다가 일어날 때 통증(극장 무릎 증후군)
• 계단을 오르내릴 때 무릎이 아픔
• 쪼그려 앉을 때 무릎이 불편하거나 뻐근한 느낌

슬개대퇴증후군은 여성에게 더 흔하게 발생하며, 남성과 여성의 증상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2. 여성과 남성의 슬개대퇴증후군 차이점


📌 왜 여성에게 더 흔할까?
여성은 남성보다 골반이 넓고, 무릎이 안쪽으로 기울어지는 각도(Q각, Q-angle)가 크기 때문입니다.
이로 인해 슬개골이 바깥쪽으로 더 쉽게 벗어나 정렬이 틀어질 가능성이 높아지며, PFPS가 발생할 확률이 증가합니다.

🔴 여성에게 흔한 슬개대퇴증후군 증상

✅ 무릎 바깥쪽과 앞쪽에 통증
✅ 무릎을 구부릴 때 뻑뻑한 느낌, 뚝뚝 소리가 동반될 가능성
✅ 근력이 부족한 경우, 오래 서 있거나 걸을 때도 통증 발생
✅ 고관절 및 발목 불균형을 동반하는 경우가 많음

여성은 남성보다 대퇴사두근(특히 내측광근, VMO)의 근력이 약하고, 고관절(엉덩이) 근육이 덜 활성화될 가능성이 높아 무릎의 정렬이 불안정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엉덩이 근육과 허벅지 안쪽 근육을 강화하는 운동이 중요합니다.

🔵 남성에게 흔한 슬개대퇴증후군 증상

✅ 무릎 앞쪽 한 지점에서 통증이 집중적으로 발생
✅ 운동(특히 달리기, 스쿼트) 후 통증이 심해짐
✅ 특정한 무릎 움직임에서 순간적으로 심한 통증 발생
✅ 무릎 연골 손상(연골연화증)과 함께 나타나는 경우가 많음

남성의 경우, 스포츠 활동 중 무릎에 강한 압력이 가해지면서 PFPS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무리한 스쿼트나 하체 운동 후 통증이 시작되는 경우가 많으며, 무릎 앞쪽 연골이 점점 마모되면서 통증이 심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운동 후 무릎 주변을 충분히 이완하고, 적절한 강도로 운동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3. 슬개대퇴증후군이 발생하는 원인


PFPS의 원인은 다양하지만, 다음과 같은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할 수 있습니다.

① 근육 불균형 (단축되는 근육 vs 약화되는 근육)

📌 PFPS에서 주요 근육 불균형 예시
단축되는 근육 (지나치게 긴장된 근육)
• 허벅지 바깥쪽 근육(외측광근, 장경인대)
• 종아리 근육(비복근)

약화되는 근육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는 근육)
• 허벅지 안쪽 근육(내측광근, VMO)
• 엉덩이 근육(중둔근, 대둔근)

허벅지 바깥쪽 근육이 강하고, 안쪽 근육이 약하면 슬개골이 바깥쪽으로 밀리면서 PFPS가 악화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내측광근(VMO)과 중둔근을 강화하는 운동이 필요합니다.

② 무릎 정렬 이상
• **X자 다리(외반슬, Genu Valgum)**로 인해 무릎이 안쪽으로 기울어지는 경우
• **슬개골의 위치 이상(Patellar Maltracking)**으로 인해 슬개골이 정렬되지 못하는 경우

③ 과사용 (운동 중 무릎에 과도한 부담)
• 갑자기 운동량을 늘렸을 때
• 잘못된 스쿼트 자세로 지속적으로 무릎에 부담이 가해진 경우


4. 슬개대퇴증후군을 개선하는 운동법


PFPS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무릎 정렬을 안정화하고, 약화된 근육을 강화하는 운동이 필수적입니다.

① 내측광근(VMO) 강화 운동 (SLR - Straight Leg Raise)
• 방법:
1. 등을 대고 누운 상태에서 한쪽 다리를 뻗은 채 천천히 들어 올립니다.
2. 10~15회 반복, 3세트 진행.
• 효과: 무릎 정렬을 조정하는 내측광근을 활성화하여 PFPS 완화.

② 중둔근 강화 운동 (밴드 사이드 스텝)
• 방법:
1. 미니 밴드를 발목이나 무릎 위에 착용한 후 어깨너비보다 넓게 섭니다.
2. 무릎을 살짝 굽힌 상태에서 한 발씩 옆으로 이동합니다.
3. 양쪽 각각 15회 반복, 3세트 진행.
• 효과: 엉덩이 근육을 활성화하여 무릎 정렬 개선.

③ 폼롤러를 이용한 허벅지 바깥쪽 마사지
• 방법:
1. 폼롤러 위에 허벅지를 올려놓고 천천히 롤링하며 마사지합니다.
2. 1~2분간 진행 후 반대쪽도 실시.
• 효과: 긴장된 외측광근과 장경인대를 이완하여 무릎 정렬을 바로잡음.


5. 결론: 슬개대퇴증후군은 반드시 관리가 필요하다!


슬개대퇴증후군은 단순한 무릎 통증이 아니라, 무릎 정렬 불균형과 근육 기능 저하가 원인일 가능성이 큽니다.
특히 여성의 경우 골반과 무릎의 구조적 차이로 인해 PFPS가 더 흔하게 나타날 수 있으므로, 무릎 정렬을 안정화하는 운동을 꾸준히 실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올바른 운동 Correct-Exercise 정지훈

인스타그램:  amuse_fitness_jjh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