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올바른 운동 Correct-Exercise 정지훈입니다. 😊
✅ 거울을 보면 어깨 뒤쪽이 날개처럼 튀어나와 있나요?
✅ 푸쉬업이나 팔을 들 때 견갑골이 불안정하게 움직이나요?
✅ 전거근이 약해서 생긴다고 알고 있었는데, 왜 전거근 운동을 해도 잘 안 고쳐질까요?
👉 익상견갑(Winged Scapula)은 단순히 전거근 약화 때문만이 아닙니다!
👉 상부 승모근(Upper Trapezius)과 능형근(Rhomboids)의 과활성이 또 다른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익상견갑의 원인 중 하나인 상부 승모근과 능형근 과활성이 왜 문제가 되는지, 신체 불균형과 관련된 연구 결과, 그리고 이를 해결하는 방법을 깊이 있게 다뤄보겠습니다.
📌 1. 익상견갑(Winged Scapula)이란?
📢 “익상견갑은 견갑골이 정상적인 위치를 벗어나 등 뒤로 돌출된 상태를 말합니다!”
✅ 정상적인 견갑골은 흉곽(등)에 안정적으로 부착되어 있어야 합니다.
✅ 하지만 익상견갑이 발생하면, 견갑골이 뒤쪽으로 튀어나오면서 어깨의 안정성이 저하됩니다.
📌 익상견갑이 있으면 어떤 문제가 발생할까?
✔ 어깨 움직임이 불안정하고, 특정 동작에서 힘이 제대로 들어가지 않음
✔ 푸쉬업이나 벤치프레스 같은 운동을 하면 어깨가 들리거나, 견갑골이 제멋대로 움직임
✔ 오랜 시간 지속되면 어깨 충돌 증후군(Shoulder Impingement)과 같은 부상의 원인이 될 수 있음
👉 그렇다면, 익상견갑이 상부 승모근과 능형근과 어떤 관련이 있을까요?
📌 2. 익상견갑이 나타나는 또 다른 원인: 상부 승모근과 능형근의 과활성
📢 “전거근 약화가 아니라, 상부 승모근과 능형근의 과활성도 원인이 될 수 있다!”
✅ 일반적으로 익상견갑의 주요 원인은 전거근(Serratus Anterior)의 약화로 알려져 있습니다.
✅ 하지만, 상부 승모근과 능형근이 과활성화(Overactive)되면서 견갑골의 움직임이 비정상적으로 변형될 수도 있습니다.
📌 어떻게 이런 문제가 발생할까?
✔ 상부 승모근과 능형근이 과활성화되면 견갑골이 위로 상승하고, 과도하게 내전(Adduction)됨
✔ 이 과정에서 견갑골이 흉곽에서 떨어지면서 익상견갑이 발생
✔ 결국, 전거근이 제 기능을 수행할 수 없게 되고, 견갑골 안정성이 저하됨
🔍 연구에 따르면?
📚 연구 결과, 익상견갑이 있는 사람들은 상부 승모근과 능형근의 활성도가 비정상적으로 높으며, 이로 인해 견갑골의 정상적인 움직임이 방해됨이 밝혀졌습니다.
📖 출처:
• Cools, A. M., et al. (2003). “Scapular positioning and movement in subjects with and without shoulder impingement syndrome.” Physical Therapy, 83(1), 17-27.
• Kibler, W. B., & Ludewig, P. M. (2012). “Scapular dyskinesis and its relation to shoulder pain.”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Orthopaedic Surgeons, 20(6), 364-372.
✅ 1️⃣ 상부 승모근 과활성과 익상견갑의 관계
📢 “상부 승모근이 과활성화되면 견갑골이 위로 지나치게 올라가며 익상견갑이 심해질 수 있다!”
✅ 상부 승모근은 견갑골을 들어 올리는 역할(Elevation)을 합니다.
✅ 하지만, 이 근육이 과활성화되면 견갑골이 필요 이상으로 위로 상승하면서 흉곽에서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 이는 결국 익상견갑을 더욱 심화시키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 연구 결과?
✔ 익상견갑이 있는 사람들은 상부 승모근의 활동이 과도하게 증가되어 있음
✔ 이로 인해 전거근이 충분히 활성화되지 못하고 견갑골이 불안정해짐
📖 출처:
• Ludewig, P. M., & Cook, T. M. (2000). “Alterations in shoulder kinematics and associated muscle activity in people with symptoms of shoulder impingement.” Physical Therapy, 80(3), 276-291.
✅ 2️⃣ 능형근 과활성과 익상견갑의 관계
📢 “능형근이 과활성화되면 견갑골이 과도하게 내전되면서 익상견갑이 악화될 수 있다!”
✅ 능형근(Rhomboids)은 견갑골을 척추 방향으로 당기는 역할(Retraction)을 합니다.
✅ 하지만, 이 근육이 과활성화되면 견갑골이 비정상적으로 내전(Adduction)되면서 흉곽에서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 즉, 능형근이 필요 이상으로 긴장되면 견갑골이 정상적인 위치를 유지하지 못하고 익상견갑이 심해질 수 있습니다.
📌 연구 결과?
✔ 능형근이 과활성화된 사람들은 견갑골이 정상적인 움직임을 하지 못하고 비정상적인 패턴을 보임
✔ 이로 인해 전거근의 활성화가 더욱 저하되면서 익상견갑이 심화됨
📖 출처:
• Struyf, F., et al. (2011). “Scapular positioning and movement: A review of the literature.” Manual Therapy, 16(1), 33-39.
📌 3. 상부 승모근 & 능형근 과활성으로 인한 익상견갑 해결 방법
📢 “상부 승모근과 능형근의 긴장을 완화하고, 전거근과 하부 승모근을 강화해야 한다!”
✅ 1️⃣ 과활성된 근육 이완 (스트레칭 & 마사지)
• 상부 승모근 스트레칭 → 목을 반대쪽으로 기울이며 스트레칭
• 능형근 마사지 → 폼롤러나 마사지볼을 이용해 근육 긴장 완화
✅ 2️⃣ 전거근과 하부 승모근 강화 운동
• 월 슬라이드(Wall Slide) → 전거근 활성화
• YTWL 운동 → 하부 승모근과 견갑골 안정성 향상
📢 다음 글에서는 이러한 운동 방법을 더욱 자세히 소개해드리겠습니다!
📌 결론: 익상견갑 교정은 단순하지 않다!
📌 전거근 약화뿐만 아니라, 상부 승모근과 능형근의 과활성화도 익상견갑의 원인이 될 수 있다.
📌 따라서 단순히 전거근 강화 운동만 하는 것이 아니라, 과활성된 근육을 이완하고 올바른 근육 균형을 찾아야 한다.
📌 논문과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익상견갑을 해결하려면 견갑골의 움직임을 면밀히 분석하고 맞춤형 운동을 수행하는 것이 중요하다.
🚀 오늘부터 올바른 운동과 생활 습관을 실천하여 건강한 어깨를 만들어봅시다!
✅ 올바른 운동 Correct-Exercise 정지훈 🚀
📸 인스타그램: @amuse_fitness_jjh
'교정운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거북목 증후군, 단순한 자세 문제가 아닙니다!” (0) | 2025.02.05 |
---|---|
“등 뒤 날개죽지 통증, 그냥 근육 뭉침일까?” - 원인부터 해결 방법까지 (2) | 2025.02.05 |
스웨이백 자세의 모든 것 (2/2): 교정 및 해결 방법 (0) | 2025.01.30 |
스웨이백 자세의 모든 것 (1/2): 원인과 신체 불균형 (0) | 2025.01.30 |
"구부정한 등, 혹은 굽은 등이 고민이라면?" - 흉추 후만증의 원인과 해결 방법 (0) | 2025.01.30 |